한중일이 뒤섞인 분위기의 미국 중식당.
식사가 끝나고 나면 직원이 작은 종이 봉투 하나를 내민다.
그 안엔 달콤한 바삭과자 하나,
그리고 조심스럽게 펼친 종이 한 장.
“당신이 기대하지 않았던 일이 기쁨이 되어 돌아올 것입니다.”
그 짧은 문장 하나에
누군가는 피식 웃고, 누군가는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는다.
바로 포춘 쿠키다.
그런데 이 작고 단순한 과자에
누군가의 ‘작업’이 들어간다는 걸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 짧은 문장을 쓰는 사람이 따로 있다는 것, 그리고 그게 ‘직업’이라는 사실.
이 사람들을 포춘쿠키 작가라고 부른다.

단순한 재미? 아니다, 감정을 움직이는 글쓰기다
포춘쿠키 작가는 과자 속 메시지를 창작하는 사람이다.
보통 1줄에서 2줄 이내, 40자 미만의 문장이 대부분이며
내용은 긍정적이고 상징적인 표현 위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 “가장 큰 행운은 지금 당신 곁에 있습니다.”
- “침묵은 당신의 가장 큰 무기입니다.”
- “오늘의 고요함이 내일의 기쁨으로 바뀝니다.”
처럼, 짧지만 감정에 스며드는 문장을 반복적으로 창작해야 한다.
이건 단순한 ‘명언’ 쓰기가 아니다.
사람들이 식사 후 가볍게 웃으며 넘기거나,
가끔은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도 하는 순간을 디자인하는 작업이다.

포춘쿠키 작가는 무슨 일을 할까?
포춘쿠키 작가는 기본적으로
기업의 의뢰를 받아 수백~수천 개의 메시지를 제작하거나,
자체적으로 만든 콘텐츠를 판매하기도 한다.
미국이나 일본에선
브랜드 프로모션용으로 맞춤 포춘쿠키를 제작하는 경우가 많고,
이럴 때 작가는 회사 성격에 맞는 분위기, 고객층의 연령대, 메시지 톤까지 고려해서
전용 문구를 만든다.
또한 최근에는
- 결혼식 답례품용 포춘쿠키
- 위로 메시지를 담은 심리 포춘쿠키
- SNS 콘텐츠로 재가공되는 디지털 포춘 메시지
같은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고 있어
작가의 감성, 문체, 표현력이 중요하게 평가된다.

한눈에 보는 포춘쿠키 작가의 직업 정보
항목 | 내용 |
---|---|
직업명 | 포춘쿠키 작가, 포춘 메시지 디자이너, 짧은글 콘텐츠 작가 |
주요 업무 | 포춘쿠키용 문구 제작, 문장 기획, 브랜드 맞춤 콘텐츠 작성 |
수입 수준 | 원고료 건당 500원~5000원 / 프로젝트 단위 30만~200만 원 |
활동 분야 | 쿠키제작사, 이벤트 기획사, 디지털 콘텐츠 제작, 인쇄홍보 |
필요 역량 | 감성글쓰기, 상징 표현력, 글의 톤 조절, 타겟 분석력 |
기타 특징 | 익명 활동 많음, 프리랜서 중심, SNS 통해 활동 영역 확장 가능 |

40~60대도 할 수 있을까?
이 직업은 글쓰기 기반이기 때문에
나이와 상관없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다.
오히려 40~60대가 가진 삶의 통찰, 경험에서 오는 표현력이
짧은 글에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강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블로그, 에세이, 시 같은 감성 콘텐츠를 꾸준히 써온 사람들이라면
이 일에 굉장히 적합하다.
복잡한 디자인 툴이나 장비가 필요 없는 콘텐츠 작업이기 때문에
컴퓨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작업 가능하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해외에서는 은퇴 후 이 직업에 도전해
자신의 글로 ‘포춘 에디션’을 만드는 사람도 많다.
국내에서도 감성문구 작가, 짧은글 콘텐츠 작가와 함께
이 직업을 병행하는 사람이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단 1줄로 누군가의 하루를 바꾸는 사람
포춘쿠키 작가는 글을 많이 쓰지 않는다.
대신 짧게 쓴다.
그 짧은 문장이 사람 마음을 울리고, 웃기고, 위로해야 한다.
하루에도 수십 개씩 뽑아내는 그 문장들이
누군가의 지갑 속에 오래 남고,
SNS로 공유되며,
심지어 연애 편지처럼 전달되기도 한다.
사람들은 과자를 먹고 종이를 펼치지만,
사실은 그 종이를 먼저 기억한다.
그 문장을 누가 썼는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그 문장을 쓴 누군가는 분명히 존재한다.
그리고 그 직업은,
포춘쿠키 작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