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모든 직업들

밀폐된 거대한 통 내부에 진입해 곡물 찌꺼기와 곰팡이를 수작업 청소부

우리가 먹는 곡물은 어디에 보관될까?

쌀, 보리, 옥수수, 밀, 콩 같은 곡물은 수확 후 바로 식탁에 오르지 않는다.
대부분은 수천 톤 단위로 저장할 수 있는 곡물 저장 탱크나 사일로(Silo)에 보관된 뒤
가공, 유통, 포장 단계를 거쳐 식품으로 변한다.
이 저장 시설은 대형 식품 공장, 제분소, 축산 사료 공장 등에 설치되어 있으며,
높이 10미터가 넘고 내부는 완전히 밀폐된 구조다.
그리고 여기에 사람이 직접 들어가 청소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직업의 정식 명칭은?

공식적으로는 곡물 저장조 내부 청소 작업자,
또는 곡물 사일로 내부 세척 인력이라고 부른다.
간단히 말하면, 텅 빈 거대한 탱크 속에 들어가, 바닥과 벽면에 쌓인 곡물 찌꺼기, 곰팡이, 먼지, 벌레 사체, 부패물 등을
사람 손으로 직접 청소하는 고위험 수작업
이다.

이들은 고압 세척기, 솔, 흡입 장비 등을 이용해 청소를 수행하며,
일반인이 상상하기 어려운 답답하고 숨 막히는 밀폐 공간 속에서 작업한다.

왜 사람이 직접 들어가야 할까?

곡물 저장조는 자동화 설비로 곡물을 배출할 수 있지만,
탱크 내부 청소만큼은 자동화가 쉽지 않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곡물 찌꺼기는 수분과 혼합되며 벽면에 단단하게 들러붙음
  • 곰팡이, 기생충, 쥐, 새똥, 벌레 사체 등이 곳곳에 엉켜 있음
  • 내부가 곡선으로 되어 있어 로봇 진입이 어렵고, 사각지대가 많음
  • 매년 또는 몇 개월마다 완전 정전 상태에서 수작업 점검이 필수

따라서 결국 사람이 직접 들어가,
등을 구부리고 기어 다니며 청소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밀폐 공간에서 작업한다는 것

곡물 저장조는 완전히 밀폐된 공간으로,
내부에 들어가면 빛이 전혀 없고, 통풍이 되지 않으며,
먼지와 곰팡이로 가득한 공기 속에서 일해야 한다.

작업자들은 반드시 다음과 같은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 산소 마스크 또는 송기마스크
  • 방진 마스크 + 고글 + 방진복 + 장갑 + 장화
  • 비상시 통신용 무전기 + 생명줄 역할의 안전벨트
  • 산소 농도계 및 유해가스 감지기

특히, 작업 전에는 공기 상태를 측정해 산소 부족·황화수소 가스 유무를 확인하고
외부 대기조와 끊임없이 소통하며 안전 확보를 우선해야 한다.
질식 사고는 1~2분 내에 치명적일 수 있다.

하루 작업 루틴은 어떻게 진행될까?

곡물 탱크 내부 청소는 1회 작업 시 4~6시간 이상 걸리며,
작업 루틴은 다음과 같다:

  1. 탱크 내 공기 측정, 전기 차단, 안전 허가서 발급
  2. 장비 준비 및 안전줄 연결 후 진입
  3. 내부 조명 설치 및 시야 확보
  4. 벽면 곰팡이 제거, 찌꺼기 긁어내기, 먼지 제거
  5. 고압 세척 및 바닥 폐기물 흡입 후 외부 반출
  6. 마무리 소독, 장비 정리, 작업 일지 작성

작업자는 30~40분마다 외부 공기 마시기 또는 교대 타이밍을 갖고,
하루 평균 2~3개의 저장소를 청소한다.

가장 큰 위험은 ‘눈에 안 보이는 것들’

곡물 사일로 내부 작업에서 가장 무서운 건
실시간으로 보이지 않는 위험 요소다.

  • 산소 결핍으로 인한 실신 및 질식
  • 벽면 곰팡이 포자 흡입으로 인한 폐질환
  • 쥐 사체, 조류 배설물로 인한 감염병 노출
  • 고립된 구조로 인해 구조 지연 가능성
  • 곡물 분진에 의한 폭발 가능성(정전기)

그래서 이 직업은 ‘산업재해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며,
모든 작업은 산업안전보건법상 ‘밀폐공간 작업 기준’에 의거해 이뤄져야 한다.

이 일을 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

곡물 탱크 내부 청소는 자격증이 필수는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조건이 요구된다:

  • 밀폐공간 작업 교육 이수자 (8시간 이상)
  • 산소 결핍 및 유해가스 대응 교육 수료자
  • 건강한 폐기능과 심장 상태
  • 협업 및 교대 작업 가능성
  • 심리적 안정성(폐소공포증 없음)

대부분 곡물 저장 업체, 사료 공장, 청소 전문 위탁업체에서 활동하며,
보통 2인 1조 이상으로 팀 작업을 수행한다.

한눈에 보는 곡물 저장탱크 청소 작업자 정보

항목내용
직업명곡물 저장조 내부 청소 작업자, 사일로 청소 인력
주요 업무밀폐 저장조 내부 곡물 찌꺼기, 곰팡이, 분진 제거 및 세척
근무 환경밀폐 공간 / 산소 부족, 곰팡이, 유해가스 / 방진복 착용 필수
수입 수준일당 12만~20만 원 / 월 300만~400만 원 / 위험수당 포함 시 상승
필요 자격밀폐공간 작업 교육 / 유해가스 대응훈련 / 폐기능 이상자 제외
활동 분야제분공장, 곡물 저장센터, 사료 제조공장, 청소 전문 용역업체 등

보이지 않는 곳을 가장 깊숙하게 청소하는 사람들

우리가 먹는 쌀, 밀가루, 옥수수의 이면에는
곡물 찌꺼기와 곰팡이, 쥐 사체가 엉킨 저장조 속을 기어 다니며 청소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의 작업은 뉴스에도 나오지 않고,
광고에도 등장하지 않지만,
식품 위생과 유통 전 단계의 청결을 책임지는 가장 중요한 마지막 수작업이다.

기계가 못하는 공간,
로봇이 포기한 곡선형 구조,
그리고 사람이 숨쉬기 어려운 밀폐된 그곳.
거기에 매일같이 들어가
벽면을 긁고, 바닥을 쓸고, 곰팡이를 닦아내는 사람들이 있다.

그 직업은,
곡물 저장탱크 청소 작업자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